2019년 11월 13일 오후 11시 47분 쓰고 2024년 11월 03일 오후 4시 56분 글을 조금 수정함
엄마는 가끔 나에게 티비나 라디오에서 들은 얘기를 두서없이, 반복해서 해준다. 내가 고등학생이였을 땐 한참 인간극장이나 토크쇼에서 묘사되었던 성공한 사람들의 일화를 들려주었고, 요즘은(2020년-) 김창완 아저씨의 라디오 사연이 주 레퍼토리다. 사람이 좋다 같은 휴먼 다큐가 엄마의 이야기 보따리 타겟 프로그램인 것이다. 그런데 그 이야기를 들으면 마음이 복잡해진다. 엄마는 서울대를 나와 인생이 잘 안 풀린 사람들의 얘기를 나에게 자주 한다. 사실 그 얘기 시리즈들을 듣기 시작한 것이 대학 입학 전부터였는지 입학 후였는지 기억은 안니지만 서울대를 졸업하고 나니 비수가 되어 뇌리에 깊게 남는 것이다. 엄마의 시리즈 중 한 가지에 대해 얘기하자면, 빵집 아저씨의 일화가 ‘자주’ 등장한다. 서울대를 졸업한 빵집 아저씨는 학생운동을 하다가 빨간 줄이 그어졌고 그 이후에 고시와 취업에 모두 실패하였으며 결국에는 빵집을 차리게 되었는데 공부는 잘했지만 빵 만들기에는 소질이 없어서 제빵 실기 시험에서 애를 먹었다는 얘기이다.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사실인지 알 수 없는 민담 같은 그 이야기는 요즘 나의 머릿속에서 쟁쟁 울려 퍼진다. 오늘은 엄마가 이마트 트레이더스에 가는 길에 연세대를 나온 초등학교 동창의 얘기를 해줬다. 그 아저씨는 연세대를 나왔지만 담배를 팔고 있다고. (접속사 하지만을 사용한 것은 의도적이다. 나는 연세대생-수제담배 가게 사장 노선에서 인생의 하락세를 뜻하는 엄마의 뉘앙스를 강하게 확신한다.) 동창 아저씨들이 그 아저씨의 수제 담배를 가끔 팔아주는데 사면서도 수제 담배를 마음에 안들어 한다고 했다. 그래도 그 아저씨는 똑똑해서 딸들이 다 외고를 나왔다고 한다. 그 얘기를 듣고 울적해진 나는 작가 준비생에 준하는 나의 처지를 한탄하며 스스로 한심하다고 했고 엄마는 자신의 노력을 아는 사람은 스스로 부끄러울게 없다고 했다. 하지만 훗날 내 친구들이 마트에 가면서 자식들에게 나의 하락세를 교훈 삼아 얘기하는게 무서워서 얼른 성공해야겠다
고 다짐했다.